본문 바로가기

휘파람새의 속삭임

가을, 들길을 걷고싶다

 들길을 걷고 싶다. 명징한 하늘에 어우러진 흰 구름을 바라보며 강물이 흐르는 들길을 걷고 싶었다. 마침 일요일 오후인데 흔치않게 맑은 하늘에 마음이 자꾸만 흔들린다. 거실에 앉아 바라다 보이는 창밖 풍경이 날더러 어서 오라며 손짓하는 것 같다. 천마산 봉우리 위로 모였다가 흩어지는 조각구름이 한가한 듯 분주한데 가을을 실어 나르듯 춘천 가는 복선 전철이 시간마다 몇 번씩 거실 앞을 오고간다. 어느새 나는 신발 끈을 조이고 무작정 춘천 가는 전철에 몸을 실었다. 어디쯤에서 내릴 것인가 작정도 하지 않았는데 열차는 대성리 강물위를 달린다. 어디로 가면 가을에 물든 강물과 들꽃과 바람이 있는 들길을 걸을 수가 있을까.

 

 굴봉산 역에서 내렸다. 평소 춘천을 오가면서 나는 이 근처 강물 옆길을 걷고 싶던 기억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무궁화 호 시절에 간이역이었던 경강역은 없어지고 지금은 마을 안쪽으로 옮겨져 이 지역의 산 이름을 따서 굴봉산 역이 되었다. 가끔씩 동네 주민들로 보이는 소수의 노인들과 배낭을 짊어진 몇몇 등산객들만 오갈뿐 아직도 간이역 일 수밖에 없는 한적한 시골 마을, 주변은 열차가 통행 하는 대중교통의 정거장 같지가 않다. 세 방향은 산으로 둘러져 있는 아늑한 마을 북서쪽으로 열린 들판 멀리 하늘빛 북한강 물이 흐른다. 정거장을 나와 가을의 한 복판을 걷게 되었다. 황금들녘의 익어가는 곡식들하며 논밭 사이 전통농가, 화단에 피어난 백일홍 맨드라미 코스모스. 가을바람에 들깨 밭이 향기롭다. 

 

 

   

  

   바쁠 것 없어 천천히 지나가는 농업용 트럭의 엔진소리와 꽁무니에서 뿜어져 나오는 매연까지도 가을향기로 전해오는 시골길. 그 길을 걸어 강물이 보이는 언덕에 까지 왔다. 길옆으로 피어난 쑥부쟁이와 퇴색해 가는 풀잎들 하며 걷고 싶었던 가을 풍경 속에서 가슴속까지 시원한 바람을 느낀다.

 

 해마다 맞고 보내는 가을인데도 세월이 거듭되는 만큼 감회가 별나다. 나이가 든다고 누구나 나처럼 감상에 젖을까 마는 하늘이 맑고 푸를수록 나는 괜한 감정의 너울 속에서 헤어나지를 못한다. 자연환경의 변화로 삶의 위기를 느끼는 소나무가 별나게 많은 솔방울을 남기게 되는 이치와도 무관치 않을 성 싶다. 내 앞으로 이렇게 쾌청한 가을을 몇 번이나 맞고 보낼 수 있을까. 삶의 파도 속에서 실종되어 버린 젊은 날의 가을이 어디론가 사라져 간 것처럼 지금 강 언덕에서 한들거리는 코스모스의 청초한 모습도 이제 곧 시들고 사그라질 것이다. 눈앞에 다가온 추운계절에 말라 비틀어진 코스모스 꽃대 위로 삭풍은 휩쓸 것이고  산하는 곧 이어 백설에 뒤 덮이고 말겠지. "인생은 그 날이 풀과 같으며 그 영화가 들의 꽃과 같도다" 구약성서 시편 기자도 이와같이 우리에게 가치있게 살 것을 권유하고 타이른다. 아직도 멀었을 것 같던 내 인생의 가을은 깊어가고 이루지 못한 것 들로 인한 아쉬운 마음은 들길을 걸으며 덧없는 세월 타령이나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지는 해를 바라보며 걷노라니 풀섶 으로 뒤따라오는 기다란 내 그림자가 쓸쓸하다. 가을 강물에 낚싯대를 드리운 사람들의 자적하는 여유로움. 강가에 피어난 가을 꽃 감국 노란색 꽃잎위에 비치는 저녁 노을, 춘성교 다리위로 달리는 자동차하며 늦은 오후의 붉은 햇살에 흔들리는 강아지풀 까지도 정겨운 강변길을 따라 고단할 만큼을 걸었다. 산 그림자 뒤로 숨어 버리는 짧은 가을 햇살이 야속하다. 그만 돌아가야 할까 보다. 굴봉산 역까지 되 돌아가기에는 너무 멀리 왔다. 이제 그만 집으로 가려면 국도를 지나는 육로를 이용해 다음역인 가평까지는 걸어야 한다.

 

 해 질 무렵이 되어 적당하게 시장기를 느끼며 찾아들어간 들길 옆 식당, 손님 없는 빈 홀이 내 속처럼 허전하다. 무엇에도 쫒기지 않는 여유와 혼자라는 자유로움이 갈증과 시장함과 적적함 보다 소중하게 느껴진다. 적요와 평안을 즐기는 낭만적인 길손이 되고 싶어 탁주 한 병을 주문하고 나서 다음 역까지 가는 차편을 묻는다. “시외버스가 한 시간에 한 번씩 온다는데 우린 버스를 타 본적이 없어 잘 모르겠네요.” 영양가 없는 객이라 그러하겠지만 시큰둥한 대답에 나는 그저 그러려니 한다. 다음 정거장 까지 가는 길은 아무래도 쉽지는 않을 것을 예상한다.

 

 아무려면 오늘 안으로야 돌아갈 수 있겠지. 日暮道遠 이라는 고사성어가 생각난다. 중국 초나라 시절, 오자서라는 분이『늙었으나 할 일이 많다』라는 의미로 한 말이나 『해는 지고 길은 멀다』는 뜻이다. 이 말이 주는 뉘앙스를 나는 싫어하지 않는다. 고단한 삶의 표현을 말 한 것 같지만 아직은 할 수 있는 일이 남아있다는 희망의 메시지로 들리기 때문이다. 오래 걸어 고단함도 이 정도라면 견딜 만하니 먼 길이어도 걱정 할 것 없다. 오히려 더 걷지 않으면 안 된다는 必然 으로 인해 느슨해 진 마음의 자세를 다잡는 기회가 될 듯싶기도 하다. 갈 길이 아무리 멀다 해도 어떤 방법으로든 돌아가게 될 것이다. 약간의 갈증, 견딜만한 피곤, 적당한 고적함 이라는 친구와 함께 술 한 병을 다 비웠다. 해는 이미 서산을 넘어갔고 몸과 마음은 기분 좋을 만큼 몽롱하다.

 

 어둠이 서서히 내려오는 경춘가도를 걷기 시작한다. 누구 하나 내 존재에 대해서 신경 써주는 이 없는것이 오히려 자유롭다. 질주하는 자동차의 소음에 섞여 강원도를 벗어나는 긴 다리에 이르자 해는 이미 져 버렸고 서쪽 하늘에 걸린 회색빛 구름 몇 점이 아스라이 하루를 마감하고 있다. 자동차의 불빛에 시야가 혼미하다. 되도록 찻길을 피해서 논두렁을 돌아 도착한 곳에 가평역의 불빛이 반짝인다. 마치 내 집 거실에 앉은 듯 마음을 놓는다.

 

 걷고 싶었던 시골길. 가을의 강물, 바람에 한들거리는 들꽃의 속삭임을 들으며 고적함으로 평안함을 느낀 오후였다. 혼자서 걷는 길이란 고단함보다 유익한 영혼의 자유로움이 있어 즐길 만 한 휴식이 아닌가.

             

                                                                                                                                                 2012,   10